1. 신고서 작성
-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필요한 신고서를 다운로드합니다.
- 신고서에 누락 없이 정확하게 기재합니다.
2. 신고료 입금
- 신고서에 기재된 금액을 해당 은행 계좌로 입금합니다.
- 입금 시 반드시 "법인세 신고 기한 후 신고"라고 명시합니다.
3. 신고서 제출
- 작성한 신고서와 입금 증빙 서류를 국세청에 제출합니다.
- 제출 방법은 우편, 방문 신고, 홈택스 전자 신고 등이 있습니다.
기한 후 신고 시 주의 사항
1. 과태료 부과
- 기한 후 신고를 하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과태료는 신고 지연 기간과 신고 과세표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2. 가산세 부과
- 과태료 외에도 기한 후 신고 세액에 대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가산세는 기한 후 신고 기간과 미납세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3. 벌금 부과
- 과태료와 가산세 이외에도 악의적인 기한 후 신고에 대해서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4. 기한 후 신고 유효 기간
- 기한 후 신고는 기한 후 5년 이내에 하여야 유효합니다.
- 5년이 지난 후에는 기한 후 신고를 할 수 없습니다.
과태료 감면 신청
1. 감면 신청 가능 사유
-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기한에 신고할 수 없었던 경우
- 질병이나 상해로 신고할 수 없었던 경우
- 국세 관련 법령에 익숙하지 않아 과실로 기한을 놓친 경우
2. 감면 신청 방법
- 과태료 감면 신청서는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작성한 신청서를 국세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결론
법인세 기한 후 신고는 벌금이나 과태료 부과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지만, 기한 후 신고 절차를 올바르게 준수하면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기한 후 신고 시에는 과태료 감면 신청을 통해 벌금이나 과태료를 줄일 수 있는지도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