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임대차표준계약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 특정물임대차계약: 임대한 건물이나 토지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는 계약이다.
- 미특정물임대차계약: 임대한 건물이나 토지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은 계약이다. 완공 후 특정 건물이나 토지를 임대하는 경우 사용된다.
상가임대차표준계약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임대기간: 임대 시작일과 종료일이 명시되어 있다.
- 임대료: 임대 금액, 지급 방법, 지급 시기가 명시되어 있다.
- 보증금: 임대인이 임대차 기간 중 임차인의 의무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임차인이 납입하는 금액이다.
- 사용 용도: 임대된 건물이나 토지의 사용 용도가 명시되어 있다.
- 수선 의무: 임대된 건물이나 토지의 수선과 유지에 대한 의무가 정해져 있다.
- 대항력: 임대인이나 임차인이 어떠한 불가항력으로 인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을 때의 조치가 명시되어 있다.
- 해지: 계약을 어기거나 양 당사자의 동의가 있을 때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건과 절차가 명시되어 있다.

주의 사항
상가임대차표준계약서를 체결할 때에는 다음 사항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 임대료: 임대료의 금액, 지급 방법, 지급 시기를 명확히 확인한다.
- 보증금: 보증금의 금액, 사용 목적, 반환 조건을 확인한다.
- 사용 용도: 임대된 건물이나 토지의 사용 용도가 사업 목적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수선 의무: 건물이나 토지의 수선 및 유지에 대한 임대인과 임차인의 의무를 명확히 파악한다.
- 대항력: 계약 이행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불가항력 사유와 그에 따른 대처 방법을 확인한다.
- 해지: 계약 해지 조건과 절차를 꼼꼼히 검토한다.
- 특약: 표준계약서에 추가로 삽입하고자 하는 특약이 있는지 확인한다.
각 조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
상가임대차표준계약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조(목적)
계약의 목적과 범위를 명시한다.
제2조(임대물)
임대되는 건물이나 토지의 위치, 면적, 용도를 명시한다.
제3조(임대기간)
임대 시작일과 종료일을 명시한다.
제4조(임대료)
임대료의 금액, 지급 방법, 지급 시기를 명시한다.
제5조(보증금)
보증금의 금액, 사용 목적, 반환 조건을 명시한다.
제6조(사용 용도)
임대된 건물이나 토지의 사용 용도를 명시한다.
제7조(수선 의무)
건물이나 토지의 수선 및 유지에 대한 임대인과 임차인의 의무를 명시한다.
제8조(대항력)
계약 이행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불가항력 사유와 그에 따른 대처 방법을 명시한다.
제9조(해지)
계약 해지 조건과 절차를 명시한다.
제10조(특약)
표준계약서에 추가로 삽입하고자 하는 특약이 있는 경우 그 내용을 명시한다.
결론
상가임대차표준계약서는 상가임대차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는 중요한 문서이다. 계약 당사자는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계약서 내용을 꼼꼼히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변호사나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계약서의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준수함으로써 당사자 간의 분쟁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임대차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